허리디스크는 정확하게는 추간판탈출증이라고 부릅니다. 척추 뼈 사이사이의 물렁뼈로서 쿠션 역할을 하는 추간판(디스크)의 수액이 빠져나와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보통 허리디스크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만약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을 누르지 않는다면 특별한 이상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을 압박하면 통증, 저린 느낌, 감각이 마비된 느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운동신경이 압박될 경우 근력저하, 심한 경우 마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허리디스크를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의 불편을 넘어 신경손상이 심해져 만성으로 갈 수 있으며 심각한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적극적 치료를 해야 합니다.
오랜 시간 앉아있는 경우
우리 몸의 척추는 서있을 때 보다 앉아있을 때 더 많은 압력을 받게 되기 때문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사람일수록 디스크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서있을 경우 척추 주변에 붙어 있는 근육에 의해 척추에 미치는 압력이 하지로 분산되므로 척추에 직접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지만, 앉아 있을 때는 척추근육이 이완되어 척추에 걸리는 압력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특히 바른 자세로 앉지 않은 경우는 더 많은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디스크 생활동작
허리를 앞으로 굽히고 회전하는 동작은 추간판에 상당한 충격을 주는 동작으로 추간판 내의 수핵을 뒤쪽으로 밀리게 하고 섬유테의 섬유들은 허리를 튼 방향과 반대쪽 후측방으로 팽팽히 긴장하게 되어 이곳의 추간판 섬유테는 다른 부위보다 훨씬 약한 구조를 갖고 있어 쉽게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머리 감을 때, 쓰레기 주울 때 등에서 나타나며 이런 동작을 취할 때는 가능한 정면을 향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허리노동
물건을 들어 올릴 때 허리에 걸리는 하중은 그 물건 무게의 10배 정도가 되는데, 이런 과도한 하중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를 빨리 오게 하는 주범입니다. 이렇게 약해진 추간판의 섬유테는 작은 충격에도 쉽게 찢어지게 되며 수핵이 쉽게 탈출하게 됩니다.
허리 근육의 약화
허리근육은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하지로 분산시키는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데 척추를 보호하는 허리근육이 약해지면 압력의 분산이 저하되어 추간판의 압박을 초래하고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를 가속화시키게 되어 디스크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수술적 치료보다는 비수술적 치료가 선호되며 신경 주사치료를 병행한 물리치료, 자가 운동법이 가장 좋습니다. 단 하루아침에 정상으로 돌아오지는 않으며 꾸준한 노력이 있어야 하는 치료이므로 의료진과의 꾸준한 상담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수술적인 치료를 해야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을 갖게 됩니다. 하지만 허리디스크 환자는 마비(다리에 힘이 빠질 때)가 있을 때만 수술적치료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전세계적으로 권고되고 있습니다. 마비가 없는 디스크환자는 비수술적, 보존적 치료로 치료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