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하며, 서서히 시작되어 수동적, 능동적 관절운동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어깨의 통증으로 움직임이 제한되는 증상으로 주로 50대에 발생하여 오십견이라고도 부릅니다.
특별한 외상이 없거나 경미한 외상 후에 견관절 부위에 둔통으로 시작되어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면서 관절 운동의 제한이 나타납니다. 원인을 모르는 특발성인 경우 대개 50대 이후에 발생하며, 환자는 다른 견관절 환자와 같이 심한 동통과 야간통, 운동제한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되며 누워있는 자세에서 통증 및 불편감이 더욱 심해져 야간통으로 인한 수면장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야간통은 다른 어깨질환에서도 보이기 때문에 동결견(오십견)에서만 보이는 증세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관절운동은 전방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모두 제한되며 서서히 진행하여 일상생활이 크게 불편해지기도 합니다. 동결견은 다양한 각도의 수동적 운동 시 심한 통증을 호소하지만 회전근개(어깨 표면의 삼각근 안쪽에 위치해 안정적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데 관여하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을 총칭) 질환은 별도의 운동에서만 통증을 보여 서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수동운동범위 감소로 인해 머리 빗질을 하기 힘들다든지, 얼굴을 씻기가 힘들다고 하며, 선반위의 물건을 집기가 힘들다고 호소합니다. 초기 동결견의 경우 회전근개 질환과 구별이 잘 안되지만 경과가 상당기간 지났거나 심하게 구축이 된 경우는 상완관절과 운동은 전혀 없이 견갑 흉곽 운동만 일어나 덜컹거리면서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어깨 관절의 운동범위를 검사하여 어떤 방향의 운동이 특히 제한되는지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습니다.
관절염, 관절손상, 석회화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단순오십견과 이차오십견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깨힘줄 내부의 손상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관절조영술 검사는 보험적용이 되기 때문에 MRI 검사보다 훨씬 경제적이면서도 오십견의 정도와 예후를 평가하는 데 더 정확합니다. 또 수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