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


다른 원인 없이 만성적으로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에 제한이 있는 질환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하며, 서서히 시작되어 수동적, 능동적 관절운동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어깨의 통증으로 움직임이 제한되는 증상으로 주로 50대에 발생하여 오십견이라고도 부릅니다.  

중년에게 주로 발병하는 오십견

증상

특별한 외상이 없거나 경미한 외상 후에 견관절 부위에 둔통으로 시작되어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면서 관절 운동의 제한이 나타납니다. 원인을 모르는 특발성인 경우 대개 50대 이후에 발생하며, 환자는 다른 견관절 환자와 같이 심한 동통과 야간통, 운동제한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되며 누워있는 자세에서 통증 및 불편감이 더욱 심해져 야간통으로 인한 수면장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야간통은 다른 어깨질환에서도 보이기 때문에 동결견(오십견)에서만 보이는 증세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관절운동은 전방거상, 외전, 외회전 및 내회전이 모두 제한되며 서서히 진행하여 일상생활이 크게 불편해지기도 합니다. 동결견은 다양한 각도의 수동적 운동 시 심한 통증을 호소하지만 회전근개(어깨 표면의 삼각근 안쪽에 위치해 안정적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데 관여하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을 총칭) 질환은 별도의 운동에서만 통증을 보여 서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수동운동범위 감소로 인해 머리 빗질을 하기 힘들다든지, 얼굴을 씻기가 힘들다고 하며, 선반위의 물건을 집기가 힘들다고 호소합니다. 초기 동결견의 경우 회전근개 질환과 구별이 잘 안되지만 경과가 상당기간 지났거나 심하게 구축이 된 경우는 상완관절과 운동은 전혀 없이 견갑 흉곽 운동만 일어나 덜컹거리면서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검사

관절가동범위 검사

어깨 관절의 운동범위를 검사하여 어떤 방향의 운동이 특히 제한되는지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 검사

관절염, 관절손상, 석회화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

단순오십견과 이차오십견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깨힘줄 내부의 손상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관절조영술 검사

관절조영술 검사는 보험적용이 되기 때문에 MRI 검사보다 훨씬 경제적이면서도 오십견의 정도와 예후를 평가하는 데 더 정확합니다. 또 수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치료

특수재활 운동치료

  • 운동 범위를 늘려주는 신장운동, 회전근개 등장성 운동, 회전근개 근력 강화, 적응 훈련 등 단계적으로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물리치료를 정기적으로 반복해 성의를 가지고 해줌으로써 대부분 수술적 치료없이 회복될 수 있습니다. 신장운동은 부드럽고, 천천히, 약간 아프게, 힘을 빼고, 수동적으로, 체계적, 규칙적으로 시행해 주어야 하며, 신장운동에는 거상운동, 등 뒤 내회전 운동, 상체 교차 운동 등이 있으며, 이 같은 운동들은 통증이 없을 때까지 최대한으로 하여 열을 셀 정도로 천천히 부드럽고 편안하게 시도하여야 합니다.

관절 조영술

  • 굳어진 어깨관절 안으로 매우 가느다란 주사침을 삽입한 후 조영제로 관절내 위치를 확인하고 안전한 특수약물을 주입하여 움츠러든 관절주머니를 부드럽게 이완시켜서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를 늘리는 시술로 보다 빠르게 치유될 수 있게 도와주는 특수시술입니다.

주사요법

  • 연골영양 주사 : 어깨관절에 연골성분을 공급하고 굳어진 어깨관절을 윤활시켜 어깨관절의 통증 완화 및 가동범위를 증가시켜주는 주사 요법입니다.
  • 회전근이완주사 : 경직된 어깨관절 회전근을 풀어주는 주사치료입니다.
  • DNA 인대보강 주사 : 염증으로 인해 유착되고 작아진 관절낭과 혈액낭에 약물을 투여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여 재활을 도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