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신경다발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

  척수가 지나가는 두 번째 손가락 굵기 만한 구멍이 있는데, 이 구멍을 척추관이라고 합니다. 이 척추관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좁아지는 것을 척추관 협착증이라 합니다. 요추관협착증, 퇴행성 전방전위증으로도 불립니다.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치료해야 하는 척추관 협착증

증상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신경을 직접적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허리 통증이 극심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허리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과 달리 엉덩이나 항문 쪽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끼고 다리의 감각장애와 근력저하가 동반됩니다. 추운 곳에 있거나 활동을 많이 하면 악화되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거나 안정을 취하면 통증이 호전되기도 합니다. 증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심해지면 허리를 굽히거나 걸음을 멈추고 쪼그리고 앉아서 쉬면 괜찮아지고, 또 다시 걸으면 증상이 반복되곤 하는데, 이런 증상을 신경인성 간헐적 파행증이라고도 합니다. 협착의 정도가 심할수록 보행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지고 보통 종아리, 발목, 무릎, 허벅지, 엉덩이 및 서혜부를 따라 넓은 범위의 감각소실 및 저린 느낌 같은 감각이상증상이 생길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해지면 괄약근 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허리디스크와의 차이점

  • -허리를 앞으로 굽힐 때에는 별다른 통증이 없지만 뒤로 젖히면 통증이 심해집니다.
  • -누워 있다가 일어나기는 힘들지만 움직이기 시작하면 허리가 부드러워지고 걷는 것이 편해집니다.
  • -다리가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지만 잠시 주저 앉아있다 걸으면 편해집니다.

치료

비수술적 신경치료

  • 척추관 내에서 주변 조직과 유착된 척추신경을 분리시켜주는 척추신경성형술과 신경치료를 병행하면 수술하지 않고도 질환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척추는 성급히 수술하면 오히려 더 아픈 척추수술 후 후유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신경치료를 먼저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만, 유착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수술을 하게 됩니다.

보존적 치료

  • 보존적 치료는 운동제한과 함께 안정을 취하고 약물치료로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을 투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 외 보조기착용 및 열치료, 초단파 치료, 마사지, 견인치료 등의 물리치료법도 있으며 급성기증상이 완화된 후에는 등척성(근육의 길이변화없이 긴장만을 주는) 굴곡운동과 과신전운동 등의 운동요법이 도움이 됩니다.

감압적 수술

  •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거나 근력저하, 척수손상 증상, 마미총증후군 등이 생길 경우 감압적 수술을 시행하는데 요추의 경우 감압술은 두꺼워진 황색인대, 후관절 돌기 내측, 추간판 등을 충분히 절제하여 감압시켜주는 것이며 신경근병증 소견이 있을 때에는 추간공 확장술을 충분히 하여 신경근이 눌리지 않도록 하여 줍니다.